오늘은 외국 주식과 환율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금 깊게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사실 거의 그동안의 투자는 무지성 투자에 가까웠다.
월급날이 되면 그날 자연스럽게 미국주식, 한국주식, 일본주식에 몰빵을 했다.
그저 나의 감대로 입맛대로,
"지금은 미국주식이 너무 비싼거 같은데, 한국 주식좀 사야겠다."
"엔화가 요새 가격이 떨어지는 구나 엔화로 환전해서 일본 주식좀 사야겠다"
이런식이었다.
과연 잘하고 있는것이 맞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환율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미국 주식을 산다면 한국 주식을 삼으로서 얻을 수 있는 기회비용을 잃는 것이다.
그래서 이제 인덱스 지수를 투자하는데 어느정도 지표로 사용해볼까 한다.
달러 인덱스란 세계 주요 6개국 통화(EUR, JPY, GBP, CAD, SEK, CHF) 대비 달러의 평균적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 이다.
달러 인덱스에 궁금한 사람이 있을까 싶어 링크 남긴다.
그럼 실시간달러 인덱스와 환율를 추이를 살펴보자
등락에 차이는 있지만 놀랍게도 거의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수가 있다. 주식을 매수하는데 있어서 어느정도의 기준점이 될수 있겠다.
특히 연말은 한국 주식의 배당이 발생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렇게 달러가 강세 일때 원화로 환전해서 한국 주식을 사면 배당 결산일에 맞춰서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받을 수 있다.
현재 나는 SCHD를 주력으로 모으고 있다.
현재 SCHD의 주가의 가격이 단기간에 많이 올라와 있는 상태이므로,
한국 배당 주식의 매수를 고려하고 있다.
내가 주식을 매수할 때 참조하는 지표 중 하나는 RSI 이다.
RSI 지표는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이다.
상대강도지수라고 하는데 주가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낸다.
현재 상승 압력이 굉장히 강한 상태인것을 알수 있다.
현재 같은 상황이라면 SCHD를 사기보다는 달러를 원화로 환전해 한국 배당주를 사는 것이 좋은 선택일수 있다.
그런 어떤 한국 주식을 매수해야 할까?
나의 경우 배당주의 각종 정보를 참조하는데
이거 보시고 여러분들도 두둑한 배당을 받는 따뜻한 연말을 보내셨으면 한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키움] 미국 배당세 관련 상세 안내 (ft. 세금 ) (2) | 2023.12.06 |
---|---|
2023년 최신 정기 예금 이자 높은 은행 (ft.금리, 1금융권) (2) | 2023.12.05 |
엔화 투자 지금이 적기일까? (ft.일본 ETF 직접 투자, TYO : 1306, TYO : 2625 ) (0) | 2023.12.05 |
맥쿼리인프라 중간배당 (분배금) (ft.적립식 gogo) (0) | 2022.07.25 |
연금저축 계좌 퇴직연금 개인형 IRP 분배금 입금(ft.KINDEX 미국S&P500, KINDEX 미국나스닥100, 삼성 KODEX 은행) (0)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