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연말정산을 돌려받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연금펀드+IRP 조합이 굉장히 좋죠.
항상 토해내기만 했던 연말 정산 한번 돌려 받아 보시죠.
저는 연금펀드+IRP 이후로는 항상 연말 정산을 돌려 받고 있습니다.
은행,증권사 등등에서 IRP계좌를 만들 수 있는데요.
저는 미래에셋에 계좌가 있어서 미래에셋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미래에셋증권 앱을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합니다.
오늘은 내년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 미래에셋 IRP 계좌에
300만원 입금을 하였습니다.
저는 현재 연금펀드 400만원 + IRP 300 만원을 입급 후 운용하고 있습니다.
연금 저축 + IRP를 활용하여 총 700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근로소득이 5,500만원 이하의 직장인의 경우 16.5%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5,500만원 초과할 경우 13.2%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700만원의 금액을 연금 상품에 넣게 된다면
근로소득이 5,500만원 이하의 직장인은 115.5 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근로소득이 5,500만원 초과하는 직장인은 92.4 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이런 연금 상품의 단점이라면 중도 해지시에는
기타소득세 (16.5%)를 부과 받기 때문에
장기로 운용하지 못할 경우 손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증권사 OR 은행 중 IRP 계좌를 어디서 개설할지 고민이 많으 실텐데
현재는 증권사에서만 ETF 및 리츠 주식을 매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장점이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저의 퇴직 연금은 (은행)에서 투자되고 있는데
다양한 저축은행에 안정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나,
수익률은 낮은 편입니다.
내년 쯤 증권사로 갈아탈 생각입니다.
추후 은행에서도 신탁을 이용한 ETF 매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실시간 매수가 아니며, 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얼마나 발생될지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저는 주린이므로 절대 매수 추천이 아님을 말씀 드립니다.
300만원의 70%는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어서
149주의 KINDEX 미국S&P500 ETF를 매수하였습니다.
남은 돈으로 KINDEX 미국스팩&IPO ETF 1주를 매수 하였습니다.
나머지 30%의 금액은 TDF를 추가로 매수할 예정입니다.
100% 가능한 상품으로는
원리금보장상품,채권혼합형 펀드, IRP 전용 TDF가 있습니다.
매수를 완료 하면 다시 한번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들 연말정산 때 13월의 월급 두둑하게 받으시길 바라면서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에셋 배당금 입금 (ft.세후 투자배당률 10% ?) (0) | 2022.04.21 |
---|---|
이더 리움 코인 채굴 1년 과연 수익은? (ft.가정집 채굴 수익, 이더리움, 레이븐코인, 이더리움 클래식) (1) | 2022.04.21 |
키움 증권 해외 주식 사는 법 (ft. PEY ETF 매수하기) (0) | 2021.10.13 |
쇼피파이 (SHOP) 주식 매수하기 (ft.쇼피파이 주가, 기업정보) (0) | 2021.10.12 |
지니너스 공모주 청약 (ft.10월공모주, 기업정보,청약일, 공모가) (0) | 2021.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