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미래에셋 IRP 계좌 입금 완료 (ft. 연말 정산 돌려 받는 꿀팁)

by YOLO~ 2021. 11. 29.

 

안녕하세요.  연말정산을 돌려받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연금펀드+IRP 조합이 굉장히 좋죠.

항상 토해내기만 했던 연말 정산 한번 돌려 받아 보시죠.

저는 연금펀드+IRP 이후로는 항상 연말 정산을 돌려 받고 있습니다. 

은행,증권사 등등에서 IRP계좌를 만들 수 있는데요. 

저는 미래에셋에 계좌가 있어서 미래에셋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미래에셋증권 앱을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합니다.

오늘은 내년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 미래에셋 IRP 계좌에

300만원 입금을 하였습니다. 

저는 현재 연금펀드 400만원 + IRP 300 만원을 입급 후 운용하고 있습니다.

연금 저축 + IRP를 활용하여 총 700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근로소득이 5,500만원 이하의 직장인의 경우 16.5%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5,500만원 초과할 경우 13.2%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700만원의 금액을 연금 상품에 넣게 된다면

근로소득이 5,500만원 이하의 직장인은 115.5 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근로소득이 5,500만원 초과하는 직장인은 92.4 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이런 연금 상품의 단점이라면 중도 해지시에는 

기타소득세 (16.5%)를 부과 받기 때문에 

장기로 운용하지 못할 경우 손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증권사 OR 은행 중 IRP 계좌를 어디서 개설할지 고민이 많으 실텐데

현재는 증권사에서만 ETF 및 리츠 주식을 매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장점이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저의 퇴직 연금은 (은행)에서 투자되고 있는데

다양한 저축은행에 안정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나,

수익률은 낮은 편입니다.

내년 쯤 증권사로 갈아탈 생각입니다. 

 

추후 은행에서도 신탁을 이용한 ETF 매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실시간 매수가 아니며, 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얼마나 발생될지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저는 주린이므로 절대 매수 추천이 아님을 말씀 드립니다.

300만원의 70%는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어서 

149주의 KINDEX 미국S&P500 ETF를 매수하였습니다.

남은 돈으로 KINDEX 미국스팩&IPO ETF 1주를 매수 하였습니다. 

 

나머지 30%의 금액은 TDF를 추가로 매수할 예정입니다. 

100% 가능한 상품으로는

원리금보장상품,채권혼합형 펀드, IRP 전용 TDF가 있습니다.

매수를 완료 하면 다시 한번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들 연말정산 때 13월의 월급 두둑하게 받으시길 바라면서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